Posts by brandinglead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5(농산물 공동브랜드)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5(농산물 공동브랜드)

By on 2016-08-09 in Brand Column | 0 comments

보성군의 ‘미미보’는 의미 지향적인 브랜드이다. ‘군수가 인정한 보성의 보물’이란 슬로건 하에 미미보(味美寶)는 맛과 멋·멋과 맛·무엇이 먼저랄 것도 없이 천하일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추측컨대 보성군(寶城郡)의 ‘보’를 연결 이미지로 삼았다. 나주오, 산앤청 등과 마찬가지로 지명과의 Identity를 염두에 둔 브랜드이다. 다만, 어두가 아니라 어미로 연결시켰다는 점에서 얼마나 효과가 높을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니 ‘부래만복(扶來滿福)’은 부안에 오면 오복을 가득 받을 수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이 역시 의미지향적인 네임이다. ‘천도천색’은 신안군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마을 공동체 활성화 사업이라 하겠다. 그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농산물 등으로의 판매도 염두에 둔 듯 한 브랜드로 보인다. ‘의성진’은 의성군이 추진하고 있는 공동브랜드이고, ‘칠칠곡곡’은 아직 오프라인 상에 나타나지 않은 브랜드이다. 칠칠곡곡에 대해서 의견을 더한다면, 부정연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방방곡곡을 쉽게 연상할 수도 있기에 칠곡의 이미지가 더해진다면 … 칠곡의 다양한 농산물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풀려 나가기를 바라는 멋진 의미를 담을 수 있다고 판단한 듯하다. 다만 ‘칠칠하다’는 것은 ‘나무, 풀,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라는 좋은 뜻이 있지만, 생활현장에서는 대부분 ‘칠칠맞지 못하다’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파 브랜드에 ‘일파만파’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가 날수도 있다. 살펴본 몇몇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대부분 지명과의 연결성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의 농산물 공동브랜드에서는 이 대세를 거스르기가 무척 어렵다. 굿뜨레, 자연속愛, 옹골찬 등 지자체 명칭과 무관한 신규 브랜드는 그만큼 지자체와 연결된 인지도를 확보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지역이 가진 가장 강력한 상징도구인 ‘지명’을 직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홍보효과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현실적 상황만 보면 지자체 명칭과 무관한 방향으로의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추산한다. 다만 브랜드 전략 측면에서의 장단점은 분명히 있기에… 결론처럼 이야기하기는 무척 어렵다. 농산물 공동브랜드도 이제는 관리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각 지자체가 가지고 있던 다양한 공동브랜드를 어떻게 활성화시킬 것인가가 신규 개발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이슈가 된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양산해 놓은 다양한 공동 브랜드 중 어떤 브랜드를 버리고 어떤 브랜드를 육성할 것인가… 지자체 내 담당자는 좀 더 심사숙고 하여야 한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육성하고자 한 농산물 공동브랜드만큼이나 해당 지역 내 농협 등이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농산물 공동브랜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모든 것이 합종연행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본 칼럼에서의 검토대상 지역브랜드는 2016년 1월 ~6월 사이에 각 지자체가 특허청에 출원한 175개 상표로 한정하였습니다. 출원 이전부터 사용된 경우도 있고, 아직 사용되지 않은 지역브랜드도...

Read More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4(CI & 도시슬로건)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4(CI & 도시슬로건)

By on 2016-08-09 in Brand Column | 0 comments

광역, 기초단체를 막론하고 CI를 다시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다. 적용 비용이 만만찮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도시슬로건의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CI 고유의 역할도 많이 축소되었다. 변화하는 지역의 미래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시슬로건이 점점 더 중요한 상징요소로 자리매김하지 않을까 추정된다. 그러한 이유때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지난 6개월 간 CI 변경내용을 상표로 출원한 지자체는 3군데에 지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보면 ‘완도군’의 경우, 2003년의 CI를 재출원한 것이기에 서산시, 보령시의 CI만 신규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시슬로건의 변경은 여전히 활발하다.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지자체에서 도시슬로건의 변경을 시도한 흔적이 나타난다. 이 역시 기존 슬로건을 업무용도 외 공동브랜드 등으로 확장하기 위해 출원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상대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도시슬로건에 대한 Needs가 많은 듯하다. 상기 중 눈에 거슬리는 사례부터 찾아보자. 가장 낯설게 보이는 것은 ‘바라지와 산업단지의 도시, 시흥’이다.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시흥시에 대한 가장 큰 연상 이미지가 자연생태와 산업시설이라고 한다.(경기일보. 2015.9.23) ‘바라지’란 ‘돌보다, 돕는다, 기원하다’란 순 우리말로 시흥 고유의 말이라는 설명도 덧붙여 있다. 지역 토박이들의 구술에서는 방죽을 이르는 말이기도 했고, 소금기 가득해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못 쓰는 땅에 붙는 이름이기도 했다고 한다. (http://blog.naver.com/barajismart/220458863023) 물왕저수지에서 호조벌, 연꽃테마파크, 갯골생태공원, 월곶포구, 배곧신도시, 오이도를 생태 축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라지’라고 한다. 상기의 설명을 듣다 보면 ‘바라지’는 참 좋은 말로 느껴진다. 그렇지만 설명이 필요한 슬로건은 ‘슬로건이 아니다. 그것은 ‘브랜드’인 것이다. ‘바라지’의 의미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 ‘바라지의 시흥’에 대해 공감을 표시할 수 있을까? 잘못 들으면… ‘바라지’는 ‘버러지’를 연상시킨다. 그러한 부정연상이 일어나는 순간, 시흥에 대한 좋은 감정이 사그라질 수도 있다. 이를 어찌할까?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15년 9월경에 도시슬로건이 변경된 것 같다) ‘완전한 완주’는 엄격하게 본다면 도시 슬로건이 아니다. ‘다함께 열어가는 으뜸도시 완주’를 도시슬로건의 채택하고 있으며, ‘완전한 완주’는 농특산물 공동브랜드이다. 도시슬로건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어 혼란스러우며, 그런 이유로 도시 슬로건으로 분류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 이제 ‘완전한 완주’에 대해 조금 냉정히 생각해 보자. ‘완전한 완주’란 무슨 뜻일까? 모든 것이 완비된 듯 하지만, 실상은 공허한 언어유희로 느껴진다. ‘Best’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어떤 측면에서 완전한 것인지에 대해… 소비자가 이해하고 찬성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마티 뉴마이어가 이야기했듯이, 브랜드란 당신이 말하는 ‘그 무엇’이 아니고 그들이 말하는 ‘그 무엇’이다. 너무 자화자찬이 앞서는 듯하다. 연천군이 채택하고 있는 ‘미라클 연천’에 대해서도 한마디 하고 싶다. 연천군민, 연천을 방문하는 관광객, 연천 농수산물 등을 생각할 때 ‘미라클’이란 용어가 얼마나 와 닿을까? ‘연천군’은 농촌형 지자체이기에 서울, 부산, 제주 등과 달리 내국인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브랜드 전략을 펼쳐야 한다. 연천군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은 흔치 않을 가능성이...

Read More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3(기초단체)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3(기초단체)

By on 2016-08-08 in Brand Column | 0 comments

기초단체에 해당되는 시·군·구는 전국적으로 226개이다. 이러한 기초단체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도시화가 진전되어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형과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등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지 않은 농촌형으로 나누어진다. 기초단체가 처한 상황에 따라 그들의 브랜드 운용전략도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출원상표 현황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먼저 도시형 기초단체를 살펴보자. 구미의 ‘한책하나구미운동’, 시흥시의 ‘시흥행복교육’, 고양시의 ‘고양시도서관센터’ 등의 사례가 이야기하듯 실제 거주하는 주민을 우선하는 정책브랜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도시형 기초단체는 외부인에게 의지해야 할 농축수산물이 많지도 않거니와 지역 내 제조업체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에 관여하다 보면 특혜시비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또 상대적으로 재정이 튼튼한 곳이 많다. 따라서 공동 브랜드에 관심을 쏟기보다는 지역 내 거주하는 시민을 위한 복지, 편의 정책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은 편이다. 물론 지역 내 다수 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관광, 축제 등에 대한 관심은 농촌형 지자체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정책의 추진 결과가 브랜드에 투영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에 비해 농촌형 지자체에서는 지역 내 생산되는 농산물의 판로 확보가 주요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다. 지자체장은 모든 역량을 투입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구의 증가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자연증가가 어렵기에 적극적인 귀농정책도 펼쳐야 하는 것이다. 농촌형 지자체가 안고 있는 숙제 중 하나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이다. 상징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살기 좋은 지자체임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 ‘농산물 공동브랜드’강화이다. 실질적인 소득증대와 홍보효과를 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가 다수의 농산물 공동브랜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는 농산물을 넘어 식품, 식당 등으로까지 이어지곤 한다.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다수는 이러한 농촌형 기초단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공동 브랜드 외에도 관광, 축제 등 그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결국 지자체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브랜드’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겠다. 2016년 상반기, 상표출원이 왕성했던 몇몇 농촌형 지자체의 사례를 한번 찾아보자.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곳은 ‘담양군’이다. 담양군에 대한 일반인의 이미지 조사를 확인해 본 적은 없지만 … 필자가 인지하는 담양군의 대표 이미지는 ‘대나무 & 메타쉐콰이어 길’이다. 그 2개의 핵심 소재는 담양군의 중요한 브랜드 원천이라 하겠다. 최근의 출원상표 사례를 보듯 담양군의 인식도 그와 비슷하다. 메타쉐콰이어의 앞 자를 취한 ‘메타, 메타랜드’ 같은 사례가 그것이다. 심지어 ‘운수대통’과 같은 네임도 등록하는 중이다. ‘통’은 대나무를 연상하기도 좋지 않은가? 전형적인 농촌형 지자체인 담양군의 다수 브랜드가 농산물, 식품 등의 분야에 설정되고 있다. 농촌형 지자체의 농산물 브랜드에 대한 애착은 참으로 강하고 끈질긴 면이 있다. 부안군의 ‘부안뽕잎도시락’, 보성군의 ‘보성녹차당면’, 부여군의 ‘백제 연잎주, 연빵, 연잎밥’ 등을 보다 보면 해당 지자체의 특산물이 저절로 눈에 들어온다. 설마 지자체가 도시락을 만들어 팔거나 빵, 당면 등을 생산하기 위하여 브랜드를 만들지는 않았을 것이고…...

Read More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2(광역단체)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2(광역단체)

By on 2016-08-08 in Brand Column | 0 comments

지난 6개월 동안 신규 브랜드 창출에 특별히 관심이 많았던 광역단체는 어디일까? 두말할 필요 없이 ‘서울시’라고 할 수 있다. 서울 박원순 시장은 원래부터 브랜드에 관심이 많으신 분으로 알려져 있다. 희망제작소, 아름다운재단 등 서울시장 이전부터의 네이밍 감각은 정평이 나 있었다. 서울시의 네이밍 감각이 유별난 것은 그러한 언어 감각에 대한 토대가 바탕에 있지 않을까? 네임의 최종 결정권자는 결국 시장임으로. (물론, 아직도 I·Seoul·U에 대해서는 이해가 잘 안 되지만.) 취업날개, 일자리 카페 등 서울시의 정책브랜드는 쉽고 평이하면서도 정책의 내용을 일반인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데 강점이 있다. ‘걷자, 서울’은 시민의 건강을 걱정하면서… 보행 중심의 서울시로 변화시키려는 의지가 돋보이는 네임이다. 모두가 이해하기 쉬운 단어이지만 독특하게… 정책의 방향을 확실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 – 공공 브랜드로서의 지향점이 잘 표현하는 것이 서울시 출원상표의 특성이라 하겠다. 브랜드 관련 서울시의 문제점은 다양한 정책을 브랜드화하다 보니, 해당 정책을 일일이 홍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몇 년간의 걸쳐 너무 많은 브랜드가 양산되어 무엇을 강조하고 싶은지 알기 어렵게 된 것이 서울시 브랜드 관리의 현 주소이다. Creative는 탁월하지만, Management가 약하다는 인상을 받는 것은 나 뿐일까? 올해 출원된 상표로만 판단한다면, 경기도의 최대 화두는 ‘중소기업 육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Toppier, The Best Value 등 다양한 인증 브랜드가 이를 증명한다. 더 나아가 Next 경기, 굿모닝 경기 등 남경필 경기지사가 주도하고 있는 경기도 비전 브랜드를 중소기업 지원용으로 사용할까 검토한 흔적도 눈에 뜨인다.(다양한 상품에 상기 슬로건을 출원하여 놓았다.) 하이서울 사례를 모방하고자 하는 듯한데 … 가능성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어렵다. 충남에서는 ‘농사랑’을 주요 브랜드로 들고 나왔다. 인터넷을 검색하니, 충남 농특산물 쇼핑몰이다. 충남 15개 시군의 엄선한 농.특산물을 입점시키고 있다는데 … 부디 성공하여 도내 농민의 사기를 높였으면 한다. 전남의 ‘남도음식문화큰잔치’는 올해로 23회를 맞이하는 유서깊은 축제임을 홈페이지를 통해 알았다. 순천에서 진행하다가 2014년부터는 개최지가 담양으로 바뀌었다고 나와 있다. 기초단체도 마찬가지이지만 최근 모든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는 큰 화두 중 하나는 전통시장 살리기이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서울시), 강북북부시장, 방학동 도깨비시장, 남성 사계시장, 대명시장(대구시 남구) 등 재래시장의 이미지 개선을 도모하는 출원상표 사례로 보면 그렇다. 올해 상반기 광역단체가 출원한 상표에 대한 관전평은 상기와 같은 정도이다. (본 칼럼에서의 검토대상 지역브랜드는 2016년 1월 ~6월 사이에 각 지자체가 특허청에 출원한 175개 상표로 한정하였습니다. 출원 이전부터 사용된 경우도 있고, 아직 사용되지 않은 지역브랜드도...

Read More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1(검토 대상의 추출)

2016 상반기 지역브랜드1(검토 대상의 추출)

By on 2016-08-08 in Brand Column | 0 comments

2014년에서 2015년, 2년 동안 각 지자체가 상표 출원한 423개의 브랜드를 일람해 본 적이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brandcontest/220638626493 당시 총 11회에 걸쳐서 도시슬로건, 공동브랜드, 캐릭터 등 각 분야별로 일람하였는데… 해당 칼럼의 연장선에서 2016년 상반기에 출원된 지자체 브랜드를 한 번 더 살펴보고자 합니다. (제목은 지자체 브랜드에서 지역브랜드로 바꾸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지역브랜드 개발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고 한다. 이제는 관리의 시대라는 것이다. 맞는 말이긴 한데, 100%는 아닌 것 같다. 각 자자체가 개발하여 출원하는 상표가 크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2016년 상반기(1월~6월)에 지자체가 출원한 상표는 175개 내외로 나타나고 있다. 비율 관점에서 보자면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신규 브랜드가 탄생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개수로 보면 43개를 출원한 청양군이 으뜸으로 보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3개에 불과하다. 청양군 농식품 생산자 직판장, 칠갑산愛 그리고 거북이 캐릭터가 중복되어 출원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복 사례를 배제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상기 자료의 분석은 지난 2월의 지자체 브랜드 연구 방식과 거의 동일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자료가 많지 않기에 실제 사용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나타난 사실은 다음과 같다. 가. 출원상표 모두가 신규 브랜드는 아니다. 특히 축제 브랜드 같은 경우에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지만, 개발된 것처럼 새롭게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디자인이 바뀌었거나, 상품류 확대를 위한 조치로 보인다. 나. 자료 분류과정의 오류가 있다. 특허청 DB는 해당 브랜드의 정확한 사용범위를 이야기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출원상표의 형태만으로 1차 구분하였는데, 실제 사용 흔적을 확인해 바 본 자료의 오류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필자는 ‘완전한 완주’를 도시슬로건으로 분류하였지만 실제 사용은 ‘농산물 공동브랜드’로 나타난다. 다. 점진적으로 정책브랜드, 캐릭터가 많아지고 있다. 지역브랜드의 중심이 되는 것은 지자체 CI, 도시슬로건이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해당 상징물의 개발이 완료되어 있기에 … 지금은 정책브랜드가 다수 나타나고 있다. 개발측면에서 본다면 지역브랜드는 성숙기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본 검토에서의 지역브랜드는 2016년 1월 ~6월 사이에 각 지자체가 특허청에 출원한 175개 상표로 한정하였습니다. 출원 이전부터 사용된 경우도 있고, 아직 사용되지 않은 지역브랜드도...

Read More
페이지 20 의 76« 처음...10...192021...304050...마지막 »